교황 베네딕토 1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베네딕토 11세는 1240년 트레비소에서 태어나 도미니코회에 입회한 후 롬바르디아 관구장, 도미니코회 총장을 역임했다. 1298년 추기경이 되었으며, 1303년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아나니 사건으로 위협받을 때 그를 보호했다. 보니파시오 8세 사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에 대한 파문을 철회하고 아나니 사건 관련자를 파문하는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8개월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1736년 복자로 추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니코회 총장 - 토마스 카예탄
토마스 카예탄은 이탈리아 출신의 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신학자, 철학자, 추기경으로,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연구에 매진하여 토마스주의 학파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으며, 교황권 옹호와 종교 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 가르침 조사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철학, 신학 외에 경제 분야에서도 유비 개념 옹호와 무역의 도덕성에 대한 고찰로 알려져 있다. - 1304년 사망 - 고후카쿠사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은 고사가 상황의 섭정 아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가메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지묘인 왕통 강화를 위해 정치 활동을 펼쳤고, 왕통 계승 분쟁 중 가마쿠라 막부의 개입을 받았으며, 후시미 천황 즉위와 구메이 친왕의 쇼군 임명 등을 통해 지묘인 왕통 세력 확대에 기여한 87대 천황이다. - 1304년 사망 - 가잔 칸
가잔 칸은 1295년부터 1304년까지 일 칸국을 통치한 몽골 제국의 칸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재위 기간 동안 종교적 관용과 개혁을 추진하다가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교황 베네딕토 11세 | |
---|---|
기본 정보 | |
존칭 | 복자 |
이름 | 베네딕토 11세 |
로마자 표기 | Benedictus PP. XI |
출생 이름 | 니콜라 보카시니 |
![]() | |
직책 | 로마 주교 |
재임 시작 | 1303년 10월 22일 |
재임 종료 | 1304년 7월 7일 |
이전 교황 | 보니파시오 8세 |
다음 교황 | 클레멘스 5세 |
서품 | 1300년 |
성별 | 남성 |
축성 | 1300년 3월 |
추기경 임명 | 1298년 12월 4일 |
추기경 임명자 | 보니파시오 8세 |
축일 | 7월 7일 |
시복일 | 1736년 4월 24일 |
시복 장소 | 로마, 교황령 |
시복자 | 클레멘스 12세 |
상징 | 도미니코회 복장 교황 예복 교황관 |
수호 성인 | 트레비소 |
출생일 | 1240년 |
출생지 | 트레비소, 이탈리아 |
사망일 | 1304년 7월 7일 |
사망 장소 | 페루자, 교황령 |
이전 직책 | 도미니코회 총장 (1296년–1303년) 산타 사비나 성당의 추기경 사제 (1298년–1300년) 오스티아의 추기경 주교 (1300년–1303년) |
다른 이름 | 베네딕토 |
![]() | |
교회 | |
소속 | 가톨릭 교회 |
2. 생애 초기
니콜로 보카시니는 1240년 트레비소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보카시오는 공증인이었고, 어머니 베르나르다는 도미니코회 수사들을 위해 세탁일을 했다. 1246년 도미니코회 수사가 베르나르다에게 감사를 표하며 많은 유산을 남겼는데, 니콜로가 도미니코회에 입회하면 이 유산의 절반을 포기해야 했다. 니콜로는 6세 때부터 수사가 되려는 열망을 가졌으며, 그의 첫 스승은 숙부이자 산 안드레아 성당의 주임 신부였다.[29] 그는 대학 학위를 받지 않았으며, 대학 졸업자가 아닌 마지막 교황 중 한 명이었다.[10]
2. 1. 가족 배경
니콜로 보카시니는 트레비소에서 지방 공증인 보카시오와 트레비소의 도미니코회 수사들을 위해 세탁일을 한 베르나르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니콜로에게는 아델레테라는 누이가 있었다.[27] 그의 가족들은 트레비소 성벽 밖의 S. 바르톨로메오라는 교외에 거주하였다.[3] [28]2. 2. 도미니코회 입회
1254년, 니콜로는 14세의 나이에 고향 트레비소에서 도미니코회에 입회했다.[30] 트레비소의 수도원장은 그를 베네치아의 산 조반니 에 파올로 수도원으로 보냈다. 이후 7년 동안 베네치아에서 기초 교육을 받았으며, 이 기간 말경에는 트레비소 대성당 참사회원인 로메오 퀴리니의 어린 아들의 과외 교사를 맡았다.[31] 1262년, 밀라노로 가서 산 에우스토르지오 수도원 학교에서 6년간 수학하였다.[32]3. 수도 생활과 경력
1254년 니콜로는 자신의 고향인 트레비소에서 14세의 나이에 도미니코회에 입회했다.[30] 트레비소의 수도원장은 그를 베네치아의 산 조반니 에 파올로 수도원에 보냈다. 이후 7년 간 니콜로는 베네치아에서 기초 교육을 계속 받았다. 이 기간 말경에 그는 트레비소 대성당의 참사회원을 형제로 둔 로메오 퀴리니의 어린 아들의 과외 교사를 맡았다.[31] 1262년 니콜로는 밀라노로 가서 6년 간 산 에우스토르지오 수도원 학교에서 수학하였다.[32] 이후 그는 베네치아 수도원의 강사가 되어 수도원의 동료 수사들의 기초 교육을 담당하였다. 베르나르 기에 의하면, 그는 1268년에서 1282년까지 14년 동안 수도원 강사로 봉사했다. 1276년에 니콜로는 고향인 트레비소의 도미니코회 수도원에서 강사로 초빙되어 1280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282년 2월, 니콜로는 다시 제노바로 거처를 옮겨 다시 강사를 지냈다. 그는 학사 학위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교수를 지내지는 못했다.[33]
1286년 브레시아에서 소집된 수도회 총회에서 롬바르디아 관구장으로 선출된 그는[34] 3년 동안 롬바르디아 관구장으로 있으면서 1287년 베네치아, 1288년 리미니, 1289년 트리어에서 세 차례 관구 회의를 개최했다. 3년의 임기를 마친 후에는 트레비소에 있는 수도원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했지만, 1293년 브레시아 관구 회의에서 관구장의 연임이 결정됐다. 관구장을 연임한 그는 1294년 파벤티아, 1295년 베로나, 1296년 페라라에서 관구 회의를 개최했다.
3. 1. 롬바르디아 관구장
1286년 브레시아에서 소집된 수도회 총회에서 니콜로 신부는 롬바르디아 관구장으로 선출되었다.[34] 롬바르디아 관구장을 지내면서 그의 생활 방식은 크게 바뀌었다. 그는 한 곳에 오래 머무르기보다는 순시와 격려, 교정을 위해 여러 수도원을 두루 돌아다녔다. 그 당시 롬바르디아에는 51곳의 수도원이 있었다.[35] 또한 그는 이단심문관 역할도 수행했는데, 당시 교황들은 특히 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코회가 이러한 책무를 수행하기에 적격이라고 여겼다.[36]3. 2. 도미니코회 총장
1296년 스트라스부르에서 소집된 수도회 총회에서 수도회 총장으로 선출되었으며,[37][15] 도미니코회 소속의 누구도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교황 선출(1295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있었음)의 정당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다.4. 추기경
니콜로 보카시니는 1298년 12월 4일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 의해 산타 사비나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16] 1299년 3월 25일, 로마 교황청에 들어가 추기경단에 합류했으며, 1300년 3월 2일에는 오스티아 교구의 주교급 추기경으로 승격되어 주교품을 받았다.[17]
4. 1. 교황 사절
니콜로는 1301년 5월 13일 헝가리에 파견될 교황 사절로 임명되었다. 그는 1301년 6월 22일 공무를 수행하기 위해 떠나 1303년 5월 10일에 귀국하였다.[38] 또한 그는 프랑스에도 교황 사절로 파견되었다.4. 2. 보니파시오 8세 보호
1303년 9월,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아나니에서 사로잡혔을 때, 보카시니는 페드로 로드리게즈와 함께 끝까지 교황 곁을 지킨 두 명의 추기경 중 한 명이었다.[39][18] 이들은 3일 동안 감옥에 갇혔다가,[39][18] 9월 10일 루카 프레스키 추기경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풀려나 마테오 로소 오르시니 추기경의 호위를 받으며 9월 14일 로마로 돌아왔다.[40][19]5. 교황 선출
1303년 보니파시오 8세 사후, 후임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가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소집되었다. 당시 추기경단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에게 적대적이지 않은 인물을 원했으며, 1차 투표에서 니콜로 보카시니가 만장일치로 선출되었다.
5. 1. 아나니 사건 관련자 파문
보니파시오 8세가 내렸던 프랑스 필리프 4세에 대한 파문은 철회하였다. 그렇지만 아나니 사건으로 보니파시오 8세에게 모욕을 주고 행패를 부린 프랑스 왕국의 재상 기욤 드 노가레 등은 용서하지 않고, 1304년 6월 7일 기욤을 포함하여 아나니 사건에 참여한 모든 이탈리아인을 파문했다.[41]5. 2. 외교적 노력

평화를 사랑했던 베네딕토 11세는 보니파시오 8세가 내렸던 프랑스의 필리프 4세에 대한 파문을 즉시 철회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아나니에서 보니파시오 8세에게 모욕을 주고 행패를 부린 프랑스 왕국의 재상 기욤 드 노가레 등은 용서하지 못하여, 1304년 6월 7일 기욤을 포함하여 아나니 사건에 참여한 모든 이탈리아인을 파문했다.[41] 베네딕토 11세는 또한 프랑스의 필리프 4세와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사이에 휴전 협정을 맺도록 중재하였다.[41]
5. 3. 갑작스러운 죽음
베네딕토 11세는 페루자에서 갑작스럽게 선종하여 8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만 재임하였다.[41] 갑작스러운 선종으로 기욤 드 노가레가 독살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독살 주장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20] 베네딕토 11세의 후임인 클레멘스 5세는 교황좌를 로마에서 아비뇽으로 이전하면서 아비뇽 유수 시대가 열렸으며, 클레멘스 5세를 포함한 프랑스인 교황들은 완전히 프랑스 국왕의 영향 아래 있었다.5. 4. 아비뇽 유수
베네딕토 11세가 갑작스럽게 선종하자, 후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교황좌를 로마에서 아비뇽으로 이전하였다. 이로써 아비뇽 유수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클레멘스 5세를 포함한 이후 프랑스 출신 교황들은 프랑스 국왕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41]6. 저술 활동
7. 사후 평가와 시복
거룩한 인물로 명성이 높았던 베네딕토 11세는 사후에도 신자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다.[41] 그의 무덤은 그의 전구를 통한 기적이 수차례 일어나면서 유명한 장소가 되었다. 1736년 4월 24일 교황 클레멘스 12세는 그를 시복하여 그에 대한 공경을 승인하였다.[41]
8. 베네딕토 10세와의 관계
교황 베네딕토 10세 (1058–1059)는 현재 가톨릭교회에서 대립 교황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베네딕토 11세가 선출될 당시에는 베네딕토 10세가 여전히 정당한 교황으로 여겨졌고, 따라서 가톨릭교회가 공식적으로 10번째 정통 교황으로 간주하는 니콜로 보카시니는 공식 번호를 X가 아닌 XI로 받았다.[1] 이로 인해 이후 모든 교황 베네딕토의 번호가 한 자리씩 증가했다. 교황 베네딕토 11세부터 베네딕토 16세까지는 공식적으로 볼 때 그 이름의 10번째부터 15번째 교황이다.[1]
참조
[1]
서적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Monasterii
1913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Cronica ordinis praedicatorum ab anno 1170. usque ad 1333
Rome
1897
[12]
서적
Scriptores Ordinis Praedicatorum recensiti
Paris
1719
[13]
간행물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14]
서적
[15]
서적
Cronica ordinis praedicatorum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Caesaris S. R. E. Cardinalis Baronii, Od. Raynaldi et Jac. Laderchii Annales Ecclesiastici
Barri-Ducis: Ludovicus Guerin
1871
[19]
서적
[20]
웹사이트
Pope Benedict XI
[21]
문서
[22]
서적
Sacrarum Caeremoniarum sive Rituum Ecclesiasticorum Sanctae Romanae Ecclesiae Libri Tres
Romae
1750
[23]
서적
[24]
서적
Scriptores Ordinis Praedicatorum recensiti
Paris
1719
[25]
서적
Counsels to Confessors
Loreto Publications
2008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Cronica ordinis praedicatorum ab anno 1170. usque ad 1333
Rome
1897
[35]
서적
Scriptores Ordinis Praedicatorum recensiti
Paris
1719
[36]
서적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1289-08-26
[37]
서적
Cronica ordinis praedicatorum
[38]
서적
[39]
서적
Caesaris S. R. E. Cardinalis Baronii, Od. Raynaldi et Jac. Laderchii Annales Ecclesiastici
Ludovicus Guerin
1303
[40]
서적
[41]
서적
Scriptores Ordinis Praedicatorum recensiti
Par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